목록🎃 기타/상식 ❗ (53)
코딩마을방범대
참고 사이트 = tistory-AreYou준비 컴퓨터는 두 가지 상태(2진수의 0과 1)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 2진수(binary) or 비트(Bit) 대개 1은 전원 on, 0은 전원 off 상태로 표현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가장 작은 데이터 단위 데이터를 처리, 저장, 전송 할 때 사용 바이트(Byte)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8개 단위의 비트(8bit)를 하나의 그룹으로 사용 1바이트는 8개의 on/off 상태를 조합하여 나타낼수 있는 수는 총 256 (2^8)가지 데이터 파일의 크기, 디스크 또는 그 외 저장 매체의 공간 1byte = 8bit = 1캐릭터(Character) 바이트코드 = 바이너리코드(컴퓨터 언어) 단위 바이트(B) 비트(b) 비트(bit) 1/8 바이트 1비트 바이트(Byte..
서버 '제공한다'는 뜻을 가진 'serve'에 사람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er'을 붙인 단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으면 서비스, 데이터를 제공하는 컴퓨터 혹은 프로그램 SaaS(Software as a Service) 사용자 클라우드 서비스 서비스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는 어플리케이션 Paas(Platform as a Service) 개발자 클라우드 서비스 운영을 위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개발자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 IT 인프라 대여 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정식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당사자들끼리 논의한 내용을 문서화한 것 IT용어 컴파일 작성한 소스코드를 바이너리..
포트(Port)란 하드웨어 컴퓨터의 주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 (물리적 통로)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서비스나 특정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논리적 단위 (논리적 통로) 호스트 내부적으로 프로세스가 할당받는 고유한 값 소프트웨어적 의미 NIC(Network Interface Card) 이더넷 카드 및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하며, 응용프로그램에서 받은 데이터를 네트워크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전송해 주는 기능을 하는 하드웨어 장치 데이터 송수신시, Datalink 계층에서는 호스트의 NIC로 MAC Address를 판별하고, Network 계층에서는 IP Address로 목적지를 판별함. Mac Address와 IP Address를 통해 목적지 호스트까지 도달한 후에는 포트 번호를 이용해 어떤 프로세스에서 데..
개발 환경 local(로컬 개발 환경) -> dev(서버 개발 환경) -> Integration(통합 개발 환경) -> QA(테스팅 환경) -> staging(스테이징 환경) -> production(운영 환경) 1. local (로컬 개발 환경) 각 개발자마다 설치된 서버 환경을 local 환경이라고 함 ex) MySQL 등의 DB, Tomcat, Eclipse와 같은 개발 툴, 컴파일러 등 개발 환경을 표준화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전체 개발 환경 (JDK,Eclipse,library)을 zip파일 형태로 묶어서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 1과 2 사이의 🎇 PoC (Proof of Concept) 새로운 프로젝트가 실제로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효과와 효용, 기술적인 관점에서 검증 하는 ..
CI(Connecting information)란? 88byte(영대소문자+특수+숫자) 서비스를 연계하여 서로 다른 인터넷 서비스 간에도 동일한 사용자인지 구분을 가능하게 해주는 정보 CI = 주민번호 + @ 공식으로 지정된 본인확인 인증기관(주민번호 관리-나이스, KCB 등)에 인증을 받고 각 사이트는 CI와 DI값을 받음 공인인증서나 휴대폰인증은 CI와 DI값을 얻기 위한 매개체 수단(CI 자체가 아님) 단점 주민번호를 없애고자 도입한건데 주민번호와 1:1 매칭이 됨 (도입 취지 퇴색) DI(Duplication Information)란? 64byte(영대소문자+특수+숫자) 중복 가입 체크 같은걸 방지하기 위한 정보 DI = CI + 사이트 고유코드 여러 개 아이디를 만들었을 때 각자 계정 ID가 달..
단방향 & 양방향 암호화 1. 양방향 암호화 암호화된 암호문을 복호화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의미 대칭키(비공개키)와 비대칭키(공개키) 비대칭형 암호를 이용해서 대칭형 암호의 키를 배송하고 실제 암호문은 대칭형 암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대칭키(비공개키) 방식 암복호화에 서로 동일한 키가 사용되는 암호화 방식 속도가 빠름 키 배송 위험성 존재하여 송신 측에서 수신측에 암호 키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노출 우려가 있음 비대칭키(공개키) 방식 암복호화에 서로 다른 키가 사용되는 암호화 방식 키 배송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안전성이 높음 대칭키(비공개키)방식에 비해서 느림 공개키로 암호화 한 후 개인키로 복호화 2. 단방향 암호화 암호화는 수행하지만 복호화가 불가능한 알고리즘 최소한 SHA-256, 가능하..
부인방지(non-repudiation)란? 데이터의 송수신이나 처리가 실행된 후에 그 사실을 사후에 증명함으로써 사실 부인을 방지하는 보안 기술 암호화 방식에 따른 관리 방법 대칭형 암호화 방식 신뢰할 수 있는 제3 신뢰 기관(TTP)을 통해 부인 방지 기능을 실현 비대칭형 암호화 방식 디지털 서명 기술을 응용 public, private key를 통해 certification key를 발급 받음 검증 시 user key + certication key + 원장정보 + signature key 를 통해 검증함 signature key = 원장정보 + private key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프로토콜 집합을 사용하여 두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통신할 ..
HDD(Hard Disk Drive) 컴퓨터의 주요 저장장치 내부에 플래터(디스크)를 여러 개 두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쓰임 장점 가격이 저렴하고 장기 보존이 가능 넉넉한 저장공간으로 사용가능 단점 속도가 느리며 소비전력이 큼 소음과 발열이 있음 SDD(Solid State Drive & Solid State Disk & Solid Disk Drive) 반도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장점 저전력으로 빠르고 소음이 없음 단점 HDD보다 용량 당 가격이 비쌈 DAS / NAS / SAN 스토리지 시스템이란?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용량을 저장하기 위해 디스크를 묶어서 논리적으로 사용하는 기술 스토리지 구성이란?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방법 DAS(Direct Attacthed 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