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마을방범대
AWS와 Azure의 비교 본문
728x90
계층 구조
aws
- 리소스 그룹은 태그와 클라우드 포메이션 기반
- 리소스 그룹을 삭제하거나 리소스를 모두 생성하고 그룹을 생성해도 문제가 없음
azure
- 리소스 그룹 내에 리소스를 생성하여 그룹의 상태에 따라 리소스에 영향을 미친다
Network
AWS | Azure | |
네트워크 설정 | -VPC 생성 -> 라우팅테이블 & 서브넷 생성 IGW가 연결된 라우팅 테이블의 경우 퍼블릭 서브넷에 연결 IGW가 연결되지 않은 라우팅 테이블의 경우 private 서브넷에 연결해 각각 public & private 서브넷을 구성 |
Vnet 생성 -> 서브넷 생성 (public, private 구분이 없음) |
NAT Gateway | private 서브넷에 있는 EC2가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선 NAT Gateway를 사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에 연결 | LB의 sNAT 기능이 있기 때문에 NAT을 연결할 필요가 없고, LB를 이용하지 않을 경우 NAT Gateway 사용 |
아웃바운드 | 명시적 아웃바운드 연결이 없는 경우 기본 아웃바운드 ip가 붙게되어 외부로 소통이 가능 |
AWS와 Azure 용어 비교
리소스 Naming
AWS는 태그 기반
Azure는 ID
구성요소 | AWS | Azure | service |
컴퓨팅 |
Elastic Compute Cloud(EC2) | Virtual Machine (VM) | 가상머신 |
Elastic Kubernetes Service(EKS) | Azure Kubernetes Service | 쿠버네티스 | |
Lambda | Function | 서버리스 함수 | |
Elastic Container Service(ECS) | Azure Container Service | 컨테이너 | |
DB | Relational Database Service (RDS) | SQL Database | RDBS 데이터베이스 |
DynamoDB | CosmosDB | NoSQL 데이터베이스 | |
CI/CD | Code build Code Commit Code Deploy Code Pipeline |
Devops | |
네트워킹 |
Virtual Private Cloud (VPC) | Virtual Network | 가상네트워크 |
Route53 | DNS | 도메인네임 | |
Direct Connect | ExpressRoute | 전용 네트워크 서비스 | |
Network Load Balancer | Load Balancer (4계층) | 네트워크 로드밸런스 | |
Application Load Balancer | Application Gateway (7계층) |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스 | |
CloudFront | Front Door | 글로벌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서비스 | |
Security Groups | Network Security Group | 보안그룹 | |
Elastic IP | Static IP | 고정 아이피 | |
분산서비스 | X | Service Fabric | 분산 풀을 관리하는 서비스 |
참고사이트
Azure VS AWS 비교 - joshua_s.log
728x90
'💡 백엔드 > AWS & Az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백업 및 초기화 (0) | 2024.11.28 |
---|---|
AWS EC2 인스턴스 용량 확장하기 (0) | 2024.06.07 |
Azure 구성도와 기본 상식 (0) | 2024.01.03 |
AWS의 지역(Region)과 가용 영역(AZ) (0) | 2024.01.03 |
AWS(Amazon Web Service)란? (0) | 2023.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