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마을방범대
DAS & NAS & SAN의 차이 & VM이란 본문
728x90
HDD(Hard Disk Drive)
- 컴퓨터의 주요 저장장치
- 내부에 플래터(디스크)를 여러 개 두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쓰임
장점
- 가격이 저렴하고 장기 보존이 가능
- 넉넉한 저장공간으로 사용가능
단점
- 속도가 느리며 소비전력이 큼
- 소음과 발열이 있음
SDD(Solid State Drive & Solid State Disk & Solid Disk Drive)
- 반도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
장점
- 저전력으로 빠르고 소음이 없음
단점
- HDD보다 용량 당 가격이 비쌈
DAS / NAS / SAN
스토리지 시스템이란?
단일 디스크로 처리할 수 없는 용량을 저장하기 위해 디스크를 묶어서 논리적으로 사용하는 기술
스토리지 구성이란?
서버와 저장장치를 연결하는 방법
DAS(Direct Attacthed Storage)
저장 장치(스토리지)가 직접 개별 호스트(예: 컴퓨터,서버)에 연결되어 사용 및 관리하는 방식호스트(서버, 클라이언트 등) - 스토리지
장점
- 새로운 저장 공간 확장이 쉬움
- 각 호스트에서 저장 장치까지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접근 가능
단점
- 호스트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저장 장치의 접근이 제한 됨
- 물리적인 공간이 한계에 봉착했을 때 확장이 어려움
- 남은 공간을 공유할 수 없음
NAS(Network Attacthed Storage)
- 저장 장치(스토리지)를 네트워크(예: LAN)에 부착하여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
- 서버 또는 PC에 직접 연결하지 않아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
- TCP/IP와 같은 표준 네트워크로, Network Switch와 연결하여 사용호스트(서버, 클라이언트 등) - 네트워크 스위치(인터넷) - 스토리지들
장점
- NAS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외부로 공유할 수 있으며, 여러 장치들과 연결이 가능
- 데이터를 한곳에 집중하여 유지,관리가 편리
- 데이터 보호 및 데이터 백업 솔루션을 기본적으로 제공
단점
- DAS에 비해 NAS는 용량 확장에 제한적(NAS장치 자체의 업그레이드의 한계)
-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대역폭(전송 속도)에 제한이 있음
- 네트워크 병목 현상에 취약
SAN(Storage Area Networking)
- 여러 스토리지들을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시킨 다음 네트워크를 스토리지 전용 네트워크로 구성하는 방식
- 저장 장치를 데이터 서버와 연결하여 별도의 네트워크로 관리하는 고속 네트워크 시스템
- 파일이 아닌 블록 단위 I/O(입/출력)을 기본으로 함클라이언트 - SAN 스위치(인터넷) - 서버, 스토리지들
장점
-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시스템
- 대용량의 데이터를 연결된 서버에 상관없이 원거리에 분산된 저장장치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
- 성능 및 용량 확장성이 좋음
- 가상화 환경을 구축하기 좋음
단점
- 비싼 비용과 복잡한 구성
- 별도의 SAN 전용 스위치가 필요함
아카이브
소장품이나 자료 등을 디지털화하여 한데 모아서 관리할 뿐만 아니라 그것들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모아 둔 파일(기록 보관소)
NAS와 SAN의 차이
마운트
볼륨(드라이브)를 컴퓨터에 적용 시키는것, 외부 장치를 컴퓨터에 연결하는 것
NAS | SAN |
네트워크 마운트 볼륨으로 제공 | 연결된 디스크는 로컬 드라이브로 보임 |
호스트 없이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는 방식 | 호스트들이 SAN 전용 네트워크에 거쳐서 접근하는 방식 |
VM(Virtual Machine)
- 가상 머신
- 실재하는 컴퓨터 상에 소프트웨어로 논리적으로 만들어낸 컴퓨터
- 하나의 물리 자원(컴퓨터) 위에 하나의 환경(OS)만 있는 것을 효율화하고자 가상화층을 만들고 그 위에 OS를 새로 설치하는 기법
장점
- 한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또는 온프레미스 하드웨어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음(이동성)
- 하드웨어 리소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공간 절약)
- 새로운 인스턴스가 필요할 때 기존 VM을 쉽게 복제할 수 있어 처음부터 설치할 필요가 없음(고속 프로비저닝)
- VM에 영향을 주는 악성 프로그램이나 다른 문제가 호스트 시스템 또는 다른 VM으로 확산되지 않음(보안)
단점
-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에서 여러 가상 머신을 실행하면 성능이 불안정해질 수 있음
- 가상 머신은 물리적 컴퓨터보다 효율성이 떨어지며 실행 속도도 느림
가상 머신의 종류
1. 시스템 가상 머신
- 플랫폼 독립적인 환경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드웨어 또는 운영 체제의 정보를 감춤),
따라서 프로그램이 모든 플랫폼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됨
2. 프로세스 가상 머신 (= 애플리케이션 VM = MRE(Managed Runtime Environment))
- 호스트 컴퓨터의 물리적 리소스를 여러 가상 머신에 공유할 수 있음
- 시스템에서 단일 프로세스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할 가상 플랫폼
-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VM이 파괴됨
가상화 vs 클라우드
가상화만 이루어진 것은 클라우드라고 할 수 없고, 클라우드는 가상화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라 보면 된다.
- 가상화는 하드웨어에서 기능을 분리하는 기술
- 클라우드는 이러한 분할을 사용하는 기술
728x90
'🎃 기타 > 상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방향 & 양방향 암호화 (0) | 2023.05.25 |
---|---|
부인방지와 API (0) | 2023.05.25 |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 IDS & IPS (0) | 2023.05.25 |
공개키 암호화 (0) | 2023.05.25 |
리눅스에 대해서 (1) | 2023.05.25 |